모유만 충분히 먹을 수 있다면 최고의 건강식
유견은 생후 2개월 정도까지의 강아지로 보통은 이 시기를 수유기로 보는데 이때는 모견에게 맡겨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반려인이 아무리 노력해도 어미 견인 모견을 대신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수유기 강아지가 모유만 충분히 먹는다면 건강 보조식품은 필요가 없습니다. 충분한 모유만 먹는다면 성장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치아가 나서 모견이 수유하기를 거부하면 그때는 자연스레 젖 뗄 시기가 된 것입니다.
문제는 어미 견이 없는 유견입니다. 아직 젖을 떼기 전인 강아지를 사람이 키우게 된 경우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우선 우리가 접하는 일반적인 우유는 개의 젖보다 포함되어있는 단백질의 함유량이 적으므로 시중에서 판매하고 있는 강아지용 우유를 선택해서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수유기 이후 4, 5개월 정도가 되면 젖을 뗄 시기입니다. 야생에서는 이 시기에 모견이 음식을 씹어서 부드럽게 만들어 유견에게 먹이는 시기입니다. 모견과 분리되어 반려견으로서 사람이 키우게 되면 유견에게 채소나 고기를 잘게 갈아서 주면 됩니다. 개에게 먹이면 안 되는 음식 외에는 먹여도 괜찮습니다.
유견, 성장을 위해 필요한 영양소가 있다.
모견이 모유를 먹이는 동안에는 강아지에게 이유식을 억지로 먹일 필요가 없지만, 유견이 치아가 나거나 어미 견이 먹는 음식에 호기심과 흥미를 보인다면 이유식을 시작할 단계입니다. 소화가 잘되는 음식 재료를 선택하여 태어난 지 18일 무렵부터 먹을 수 있지만 모유를 먹는 2개월까지의 시기에는 모유를 주로 먹이고 이유식은 모유 수유하는 어미 견이 지치거나 힘들어할 때 대용식으로 이유식을 만들어 먹이면 됩니다. 이 시기에는 성장에 도움이 되는 영양소가 있어야 하는데 어미 견의 모유로 충분합니다.
먼저 체격을 형성하는 기본적인 요소는 사람과 마찬가지로 단백질입니다. 근육과 장기, 혈액 등을 구성하는 성분으로 성장하는 유견에게 필수적인 영양소입니다.
비타민 중에서 비타민D와 비타민E를 많이 필요로 합니다. 비타민D는 칼슘과 인의 흡수를 도와 튼튼하고 건강한 치아와 뼈를 만들기 때문에 유견에게 아주 중요한 영양소입니다. 사람과 달리 강아지는 자외선을 받아도 체내에서 필요로 하는 충분한 양의 비타민D를 합성하지 못하기 때문에 음식으로 보충해 줄 필요가 있습니다. 비타민이 풍부한 어패류와 버섯류를 충분히 공급해주면 됩니다.
또한 유견은 성견보다 비타민E를 두 배 정도는 더 필요로 합니다. 아몬드 같은 견과류 종류나 비타민E가 풍부한 식물성 기름을 활용하여 이유식을 자주 만들어 먹인다면 좋습니다.
젖을 떼는 시기인 2개월 이후에는 한 번에 많은 양을 먹지 못하므로 적절한 양을 나누어서 조금씩 자주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강아지가 요구하면 몇 번이든 이유식을 챙겨주시면 됩니다. 이 시기는 성장에 중요한 시기이기 때문에 너무 크게 성장할까 봐 걱정하지 말고 충분히 주시면 됩니다. 혹시 살이 많이 찌는 듯하면 이유식을 만들 때 야채의 비율을 높여 포만감을
느끼게 만들어 주시면 됩니다.
조심해야 할 것들이 많은 유견
유견에게 모자이크식 나무 바닥재가 있는 바닥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틈 사이에 발톱이 걸리거나 넘어지면 무릎 관절이 어긋날 수도 있고, 빠진 발을 빼려고 하다가 다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리석 같은 미끄러운 바닥도 강아지에게는 위험할 수 있습니다. 카펫이나 러그 등을 바닥에 깔아주면 됩니다.
개는 잡식성이라고 하지만 절대로 먹이는 안되는 음식이 있습니다. 단맛이 나는 야채 등은 소량 급여해도 됩니다. 하지만 초콜릿은 절대 주시면 안 됩니다. 초콜릿에 함유되어있는 테오브로민이 심장이나 중추신경계를 자극하여 심각한 경우에는 쇼크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오징어, 문어, 게, 새우 등의 갑각류는 익히지 않은 생으로 급여를 하면 소화기관이 다칠 수 있고 익혀 먹여도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급여를 권장하지는 않지만 타우린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체질 개선에 도움이 되는 부분도 있기 때문에 아주 잘게 다져서 푹 끓여 소량만 급여하는 것은 큰 문제는 없습니다. 혹시 먹고 나서 반려견이 괴로워하고 힘들어하면 동물병원에 데려가야 합니다. 대파나 양파, 생각, 부추, 실파, 부추, 마늘 등의 파 종류는 먹이지 않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이런 파 종류에는 알릴 다이설파이드라고 하는 성분이 적혈구를 파괴하여 혈뇨가 나오거나 빈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가열한 동물의 뼈나 생선의 가시는 소화기관을 찌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급여를 하시면 안 됩니다. 날달걀의 흰자에는 아미딘이라는 하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이 성분은 비타민의 일종인 바이오틴의 흡수를 방해합니다. 섭취하게 되면 쉽게 지치고 피부염이 생기거나 식욕이 부진할 수 있습니다. 달걀흰자는 반드시 익혀서 급여해야 합니다. 싹이 난 감자,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 포도 등도 급여를 하면 안 됩니다.
'반려동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반려견에게 디톡스(해독)가 필요해요. (0) | 2022.09.08 |
---|---|
운동량이 많은 반려견을 키우시나요? (0) | 2022.09.07 |
노견, 면역력을 높여 건강한 삶을 살자 (0) | 2022.09.06 |
젊고 건강한 성견 (0) | 2022.09.05 |
균형 있게 영양 공급이 필요한 모견 (0) | 2022.09.05 |
댓글